보도자료/뉴스

2022년 7월 원전해체 뉴스

  • 운영자
  • 날짜 2022.07.28
  • 조회수 415

□ 2022.07.04. 尹정부 원전 드라이브에 건설업계도 원전사업 '총력전'

(주요내용) 건설업계가 원전 사업에 사활을 건 배경에는 향후 시장이 커질 것이라는 기대에 따른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최근 경남 창원 두산에너빌리티 원자력 공장을 찾아 오는 2025년까지 1조원 이상의 원전 일감을 신규 발주하고 원전수출 컨트롤타워를 발족해 정부가 '원전 세일즈'에 직접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상기후와 탄소중립 등 전세계 산업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윤석열 정부의 원전 드라이브까지 이어지면서 건설사들이 설계, 시공, 해체까지 원전 토털 솔루션 시장이 열리게 됐다"며 "주택사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원전 사업을 놓고 치열한 경쟁이 시작됐다"고 말했다.

URL: https://www.inews24.com/view/1496215

 

□ 2022.07.06. “고준위방사성폐기물 특별법 제정, 원전 확대의 전제 조건”

(주요내용)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를 위한 특별법 제정 필요성을 논의하기 위해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정책 포럼’이 6일 서울 노보텔 앰배서더호텔에서 열렸다. 한국원자력산업협회가 주관하고,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가 후원한 이날 행사에는 산업계, 학계, 연구계 등 8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기후변화와 에너지 안보 위기 문제에 따라 세계적으로 원전 확대 정책이 고려되고 있는 시점에서 원전 확대 전제조건으로 고준위방폐물인 사용후핵연료 처분 및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고준위방폐물 특별법 제정 필요성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됐다.

URL: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81428

 

□ 2022.07.15. 소형모듈원자로·원전해체 등 신기술 표준개발 현안 논의 

(주요내용) 전력산업기술기준인 KEPIC(Korea Electric Power Industry Code)은 전력설비의 품질확보를 위해 설계, 제작, 시공, 운전, 유지정비, 시험?검사, 해체 등에 필요한 기술적, 제도적 요건(기준)을 국내 산업실정에 맞게 방법과 절차를 규정한 전력산업계의 민간단체표준(Code & Standards)이다.

 올해로 19회째 개최된 KEPIC-Week는 전력산업계 종사자들이 화합과 협력을 도모할 수 있는 대표적인 소통의 장으로 전력산업계 최대 행사로 자리 잡았다.이번 KEPIC-Week 주제인 `신뢰받는 글로벌 표준화 리더, KEPIC’에는 한 단계 도약함과 동시에 세계 표준 시장을 이끌어가자는 의미가 담겨있다. 대한전기협회 서갑원 부회장은 환영사에서 "신뢰받는 글로벌 표준화 리더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세계 수준의 기술 표준인 ‘KEPIC’이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을 선도해 나가기 위해 소형모듈원자로, 원전해체, 디지털전환 등 새로운 기술 표준 개발에 적극 대응해 나가고 있다"며 "올해로 19회째 개최되는 이번 ‘KEPIC week’를 맞아 국내외 기술변화에 따른 폭넓은 정보교류와 함께 전력산업의 밝은 미래를 함께 고민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URL: http://www.e-platform.net/news/articleView.html?idxno=73895

 

□ 2022.07.19. 부산서 “고준위방폐물 특별법 조속 제정 필요” 한 목소리

(주요내용)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이하 고준위방폐물) 관리를 위한 특별법’ 제정 필요성을 논의하기 위한 ‘제2차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정책 포럼’이 19일 부산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렸다. 한국원자력산업협회가 주관하고, 한국원자력환경공단과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가 후원한 이날 행사는 지난 6일 서울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리는 행사로, 산업계, 학계, 연구계 및 부산지역 인사 등 7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포럼은 세계적으로 원전 확대 정책이 고려되고 있는 상황에서 원전 확대 전제조건으로 사용후핵연료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시급한 고준위방폐물 특별법 제정을 위한 산학연 전문가간 토론을 위한 장이다. 특히 고준위방폐물 특별법 제정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원전 소재 지역 주민과 전문가의 의견 수렴이 중요하므로 고리원전이 위치하고 있는 부산에서 제2차 포럼이 개최되었다.

URL: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2071922013071971

 

□ 2022.07.19. 고준위방폐물 "임시저장이든 영구처분이든 신속 해결"

(주요내용) 포럼은 세계적으로 원전 확대 전제조건으로 사용후핵연료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시급한 고준위방폐물 특별법 제정을 위한 산학연 전문가 간 토론을 위해 사용후핵연료의 부지 내 고착화 방지 등을 위한 원전 소재 지역에서의 논의 필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고리원전이 있는 부산에서 제2차 포럼이 개최됐다. 기조 강연자인 황주호 원자력진흥위원은 "원전 가동이 계속되고 이에 따라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사용후핵연료 저장 용량 부족이 다가오는데 이는 `화장실 없는 아파트` 같은 상황이라 임시저장이든 영구처분이든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고 언급하며, 조속한 특별법 제정과 사용후핵연료 재검토위원회를 거치면서 사용후핵연료 관리를 위한 법제화가 필요하다는 동일한 결론이 이뤄졌기 때문에 조속한 특별법 제정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URL: http://www.gn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500159

 

□ 2022.07.19. 원전 건설만 힘주다 해체 사업 ‘뒷걸음질’ 치나

(주요내용) 정부가 미래 먹거리 사업으로 원자력 발전소 해체 시장을 공략할 방침을 밝혔지만 관련 사업들이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어 육성 전략이 폐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국내 1호 영구 정지 원전인 고리 1호기의 해체가 여전히 요원한 상황이며 원전 해체에 필요한 핵심 기술 개발도 지연되고 있다. 여기에 원전해체연구소 부속 사업도 예산이 대폭 삭감되는 등 규모가 축소됐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당초 올 상반기 중 승인됐어야 할 고리1호기 해체계획서 승인 작업이 지연되는 등 난항을 겪고 있다. 지난 2017년 6월 19일 영구정지 된 이후 뒤 5년 이상이 지났지만 아직까지도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허가가 나오지 않고 있는 것이다.

URL: 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06804

 

□ 2022.07.21. [다시 뛰는 원전]문정부서 멈췄던 원전 방사성폐기물 기술...새정부 1조4000억 투자

(주요내용) 정부가 원전에서 발생하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사용후 핵연료) 처리 기술개발을 위해 1조4000억원을 투입하는 장기 로드맵을 내놨다. 문재인 정부는 탈원전 기조로 원전 안전·해체 기술개발 위주로 추진했지만, 새정부는 원전 확대를 위해 방사성폐기물 기술을 강화하는 것이다. 근본적인 해결을 하지 못하고 임시저장 등으로 쌓여가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리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는 원전강국으로 가는 길은 요원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기본계획에 따른 기술개발 후속조치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연구개발(R&D) 로드맵'을 공개했다. R&D 로드맵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최초의 기술확보 청사진이다.

URL: https://www.fnnews.com/news/202207200941459382


SNS Share 페이스북 공유하기트위터 공유하기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네이버 공유하기
Error Message : Query was emp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