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진배경
- 고리 1호기 해체사업 추진계획 및 기술개발 현황 등 진행사항 공유를 통한 산업체간 협력방안 모색 (2017. 12. 8 발족)
- 산업계의 실질적 교류․협력 강화를 위해 민관협의회 구성 및 기능 확대
* 원전해체 산업 육성전략 (2019.4.17, 제13차 경제활력대책회의)
역할
원전해체 사업 진행사항 등에 관한 정보교류를 통한 원활한 사업 추진 및 국내 원전해체 산업 육성방향 협의
① 해체관련 정보교환 및 소통채널
② 기술 등 역량점검 및 대정부 건의 창구
③ 글로벌 시장 진출
④ 수용성 제고 논의
⑤ 원전해체 비즈니스 포럼 주관 운영 등
구성
민관협의회(19개 기관) | 실무협의회(25개 기관) | |
---|---|---|
정부 |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부통신부 |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부통신부 |
지자체 | 경상북도 경상남도 | 경남테크노파크 포항테크노파크 |
연구계 |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연구재단 |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연구재단 한수원 중앙연구원 한수원 원전해체연구소 |
학계 | 단국대학교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 단국대학교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부산대학교 조선대학교 울산과학기술원 |
산업계 | 한국수력원자력 한전KPS 한국전력기술 한전원자력연료 한국원자력환경공단 두산중공업 현대건설 대우건설 한국원자력산업협회 | 한국수력원자력 한전KPS 한국전력기술 한전원자력연료 한국원자력환경공단 두산중공업 현대건설 대우건설 현대엔지니어링 한국원자력산업협회 |
운영
구분 | 개최주기 | 주요 내용 |
---|---|---|
민관협의회 | 연 2회 | ◦ 원전해체 산업 현안 및 협력안건 논의 ◦ 원전해체 사업/R&D 추진현황 및 계획 공유 ◦ 협의회 주요 안건 심의·의결 |
실무협의회 | 연 4회 | ◦ 원전해체 산업 육성전략 실행계획 점검 ◦ 원전해체 산업 진흥을 위한 협력 및 제안사항 |